매달 필수적으로 지출하는 비용 중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는 않습니다. 가정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저희 집 같은 경우는 매달 3만원을 넘게 내고 있는데 이런 전기세가 할인이 된다니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한전 전기요금 할인 조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Contents]
한전 전기요금 할인 조건
전기세의 경우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복지할인을 통해서 전기요금 할인이 가능한데 어떤 경우 할인이 가능한지 살펴보겠습니다.
- 장애인 :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월 1만 6천원 한도 / 여름 월 2만원 한도) - 상이유공자 : 1~3급 상이자
(월 1만 6천원 한도 / 여름 월 2만원 한도) - 독립유공자 : 독립유공자 또는 독립유공자의 권리를 이전받은 유족 1인
(월 1만 6천원 한도 / 여름 월 2만원 한도) - 기초생활 수급자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월 1만 6천원 한도 / 여름 월 2만원 한도)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월 1만원 한도 / 여름철 1만 2천원)
주거용 심야전력 사용 기초생활 수급자 (심야(갑) 31.4%, 심야(을) 20%) - 차상위계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차상위 계층 주택용 (월 8천원 한도 / 여름 1만원 한도)
심야전력 (심야(갑) 29.7%, 심야(을) 18%) - 사회복지시설 : 사회복지사업법 또는 27개 관련 법률에 의하여 신고된 시설 주택용 30%
심야전력 (심야(갑) 31.4%, 심야(을) 20%) - 생명유지장치 :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사용자 30% 할인
- 3자녀 이상 : 자녀 또는 손 3인 이상 가구 30% 할인 (월 1만 6천원 한도)
- 대가족 : 세대원수 5인 이상 가구 30% 할인 (월 1만 6천원 한도)
- 출산가구 :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포함된 가구 30% 할인 (월 1만 6천원 한도)
위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전 전기세 할인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인터넷, 팩스, 우편, 내방 및 고객센터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기본서류 + 증빙서류 + 필요시 추가 서류가 필요합니다.
- 독립유공자 : 독립유공자증
- 국가유공자 상이자 1,2,3급 : 국가 유공자증
- 5.18 민주유공 상이자 1,2,3급 : 5.18 민주유공자증
- 장애인 : 장애인 복지카드
- 사회복지시설 : 사회복지시설 신고증
- 기초생활수급자 : 수급자 증명서
- 차상위계층 : 차상위계층확인서
해당 서류는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확인이 가능한 경우가 많으니 신청 시 문의하셔서 제출하라는 서류만 제출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복지할인의 경우 대상자에게 안내가 가는 경우가 많겠지만 간혹 모르고 있는 경우에는 전기요금을 할인 받지 못하기 때문에 위 대상에 해당하지만 전기세 할인을 받지 못하고 계신 경우라면 참고하셔서 할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통신요금 25% 할인 받는 방법[SKT, KT, LGU+ 선택약정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