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이용 시 해당 지점의 경영실태평가등급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예금 등 자금을 예치할 계획이 있다면 재무 상태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정보는 ‘경영공시’를 통해서 누구나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협 등급 조회 방법을 어디서 어떻게 하는지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협 등급 조회 방법
신협 등급 조회 방법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알려드린 방법을 따라하시면 어렵지 않게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조회는 PC 또는 모바일 신협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이 글에서는 PC에서 조회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신협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제도 및 공시 > 전자공시로 들어갑니다.

2. 조회를 원하는 신협 지점을 검색 또는 지도에서 선택합니다.

3. 신협 지점 검색 또는 지도 선탣에서 나온 점포 중에서 등급 확인을 원하는 지점을 선택합니다.

4. 신협 점포를 선택하면 아래에 경영공시 자료목록을 볼 수 있는데 가장 최근의 공시자료에서 A4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5. 공시자료에서 종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팝업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경영지표에 관한 사항 > 경영실태평가 등급 현황으로 들어가면 현재 해당 신협 지점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협 등급 확인 방법은 별도의 가입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누구나 신협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니 신협 등급이 궁금하신 분들은 조회를 해보시면 됩니다.
신협 등급별 의미
위에서 신협 지점의 등급을 조회했다면 해당 등급이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 등급에 따라 어떻게 판단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등급 | 명칭 | 의미 및 특징 |
---|---|---|
1등급 | 우수 | 매우 건전한 재무상태로 우량 조합으로 분류 |
2등급 | 양호 | 재무상태가 양호하며, 경영상에 문제가 없는 상태 |
3등급 | 보통 | 일부 경영상에 문제가 있거나, 개선이 필요한 상태 |
4등급 | 취약 | 재무상태가 취약하며, 경영상의 위험이 존재하는 상태 |
5등급 | 위험 | 매우 위험한 상태이며, 합병 등 구조조정 권고 대상인 상태 |
일반적으로 신협의 경영실태평가등급의 경우 1~2등급의 경우 우량 조합으로 3~5등급은 부실 우려 조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신협 조합원으로 가입 시 가급적 1~2등급의 지점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협 등급과 금리의 관계
다음으로 신협의 경영실태평가등급에 따라서 예금 금리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등급이 낮을수록 금리가 높을 수 있다.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낮을 경우 재무 건전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이므로,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높은 금리로 고객을 유치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도 등급이 낮은 신협에서 금리가 다른 곳보다 과하게 높은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 가입에 특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등급이 높을수록 금리가 낮을 수 있다.
등급이 높은 우량 조합의 경우에는 자금을 조달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지나치게 높은 금리로 고객을 유치할 필요가 없어 예금 금리가 그렇게 높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3. 금리가 높은 신협에 몰리는 경향
우리가 신협에 예금을 가입하는 가장 큰 목적은 은행보다 높은 금리가 목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등급이 낮아도 금리가 높으면 고객이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등급이 낮더라도 금리가 가장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기 때문인데 이런 경우 가급적 예금자보호 한도 내에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협 예금자보호 한도
2025년 현재 신협 예금자보호 한도는 1인당 5천만원입니다.
하지만 2025년 9월 1일부터는 1억원으로 상향되기 때문에 신협이 영업정지 또는 파산으로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1인당 1억 원까지 예금을 보호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참고할 사항은 신협의 경우 독립 법인이기 때문에 각 법인별 한도가 적용되어 서로 다른 신협에 예금을 가입한 경우 각각 1억 원씩 보호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는 높지만 경영실태평가등급이 낮은 신협에 예금을 가입할 경우 가능한 예금자보호 한도까지만 예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신협 등급 조회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재무등급이 높으면 금리가 낮고 등급이 낮으면 금리가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잘 판단해 낮은 등급의 신협에 가입하는 경우에는 예금자보호 한도까지만 여러 신협에 분산해 예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