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병원진료 시 주민등록번호 진료가 가능했지만, 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법 개정에 따라서 병원, 의원, 약국 등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신분증 등으로 본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 시 신분증이 없을 경우 난감한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 오늘은 병원 신분증이 없을 때 스마트폰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병원에서 신분증 없을 때 해결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병원 진료 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 후 진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고 방문했을 경우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어렵지 않게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 받아 신분증과 동일하게 본인확인에 사용할 수 있는데 지금부터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다운 받아 휴대폰 또는 금융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거치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과정 자체가 그리 어렵지 않고 휴대폰 본인인증만 거치면 되며 발급 후에는 병원 진료 시 별도의 신분증 지참 없이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PASS 모바일신분증
다음으로 PASS 앱을 이용해 모바일신분증을 발급 받아 병원에서 실물 신분증 대신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ASS 앱의 경우에는 내가 사용하는 통신사 PASS 앱을 설치해야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이 경우 주민등록증에 기재되어 있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발급일자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PASS 모바일 신분증으 경우는 병원/약국은 물론 공공기관, 금융기관, 교통/여행 등 신분 확인이 필요한 곳에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평소에 실물 신분증을 가지고 다니기 싫은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PASS앱 이외에 삼성페이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병원 방문 시 신분증이 없는 경우 모바일 건강보험증 또는 모바일 신분증을 스마트폰으로 받아서 사용하면 본인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임시 신분증
신분증을 분실한 경우라면 주민센터에서 ‘주민등록증 발급신청 확인서’ 등 임시 신분증을 발급 받아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병원 및 약국 본인확인 예외 대상은?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신분증이 없어도 병원 및 약국 이용이 가능합니다.
- 19세 미만 미성년자
- 응급환자
- 해당 병원에서 최대 6개월 이내 본인 확인을 한 경우
- 병/의원에서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서 약을 받을때
- 진료 의뢰 및 회송 환자
- 본인 확인이 곤란한 사유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만약 위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병/의원에서 진료 시 본인 확인을 하지 않더라도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확인이 어려운 경우
다음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이 없고 스마트폰으로 발급을 받기도 어려운 경우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료 자체는 가능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부분이 병원 진료 시 신분증이 없으면 진료 자체를 받을 수 없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신분증 확인은 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확인하는 것이기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않고 진료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는 경우라면 신분증이 없더라도 진료가 가능합니다.
사후 정산 가능
만약 신분증이 없어 진료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 진료 받은 경우라면 14일 이내 신분증, 진료비 영수증을 가지고 병원에 다시 방문하면, 본인 확인 후 건강보험 적용 금액으로 정산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신분증이 없어 본인 확인이 어렵다면 일단 진료 받고 진료 후 14일 이내 병원에 다시 방문해 본인 확인을 하시면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마치며
의료기관에서 신분증으로 본인확인을 하는 이유는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이 타인의 명의나 건강보험증을 빌려 진료 및 처방 받는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니 번거롭더라도 신분증을 지참해 방문하시고 만약 병원에 신분증 없이 방문한 경우라면 위에서 알려드린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신분증을 스마트폰로 발급 받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